반응형 경제상식9 예금 이자가 적금이자보다 많은이유 총정리 그런 생각해보신 적 있으시나요? 왜 금리는 같은데 적금 이자보다 예금 이자가 많을까? 하고요. 이 가 친절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자는 돈을 은행에 맡긴 기간과 원금에 비례하여 계산합니다. 같은 금리인 상품이라도 예금인지 적금인지에 따라서 내 통장에 들어오는 이자가 다른데요 그 이유는 바로 돈을 넣어두는 기간 때문입니다. 120만 원을 금리 5%, 가입 기간 1년인 예금과 적금 상품에 가입했다고 가정하면 만기 후 이자를 포함하여 돌려받을수 있는 금액은 알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예금 : 126만원 (세전 기준입니다) - 적금 : 123만원 2,500원 (세전 기준입니다) 예금 상품의 이자 계산법은 굉장히 단순합니다. 위에 120만 원을 예로 가져다 쓰면 원금 120만 원에 금리 연 5%로 가.. 2024. 7. 4. 경제상식- 경제란 무엇인가? 목차1.경제란 무엇인가2.재화를 구하는 방법3.돈을 버는 방법 1.경제란 무엇인가 사람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욕망을 채워 나가야 합니다. '욕망'이라는 말이 너무 적나라하다고 생각한다면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요. 조금 유하게 표현하면 '바라는 마음'은 어떨까요. 좌우지간 우리는 살아가기 위해 음식도 먹어야 하고, 옷도 입어야 하고, 몸과 마음에 이상이 생기면 병원에 가서 치료도 받아야 하죠. 이렇게 사람의 필요를 채워주는 것을 경제용어로 '재화' 라고 부릅니다. 재화의 종류에는 가시적으로 보이고 만질 수 있는 물건도 있지만 앞에서 언급한 의사에 진료 같은 사람이 제공하는 노동도 있습니다. 이렇게 사람이 직접 제공하는 노동을 물건형태의 '재화'와 구별해 서비스 또는 용역 이라고 부릅니다. 2.재화를.. 2024. 6. 23. 콘드라티예프 파동이란? 콘드라티예프 총정리 이번시간은 "콘드라티예프 파동이란? 콘드라티예프 총정리" 라는 제목으로 포스팅해보겠 습니다. 목차1.콘드라티예프 파동2.이외 다른 파동들 1.콘드라티예프 파동 가만히 생각해보면 우리가 생활하는 삶이 굉장히 윤택하다는걸 잊고 살때가 많습니다. 문명의 이기로 인해서 과거에 비해서 삶이 얼마나 편리해 졌는지 과거를 소급해 올라가 확인하지 않고는 사실상 잊고 살게 됩니다. 산업초기인 1800년대 초에 발명된 증기기관차는 마차에 의존해온 인류에게 혁명을 가져왔습니다. 또 1850년대 초 석탄을 제련하는 기술이 발달하여 제철산업이 발전했습니다. 그 후 50년이 지나서 1900년대에는 화학공업의 발전 또 50년후 자동차가 일반화 되어 my car 시대가 도래 했습니다. 그후 1990년.. 2024. 6. 21.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