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상식

예금 이자가 적금이자보다 많은이유 총정리

by 박씨의 돈공부💰 💵 2024. 7. 4.
반응형

그런 생각해보신 적 있으시나요? 왜 금리는 같은데 적금 이자보다 예금 이자가 많을까? 하고요. 이 <박 씨의 돈공부>가 친절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예금 이자가 적금이자보다 많은이유 총정리

 

 

이자는 돈을 은행에 맡긴 기간과 원금에 비례하여 계산합니다. 같은 금리인 상품이라도 예금인지 적금인지에 따라서 내 통장에 들어오는 이자가 다른데요 그 이유는 바로 돈을 넣어두는 기간 때문입니다. 

 

반응형

 

120만 원을 금리 5%, 가입 기간 1년인 예금과 적금 상품에 가입했다고 가정하면 만기 후 이자를 포함하여 돌려받을수 있는 금액은 알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예금 : 126만원 (세전 기준입니다)

 

- 적금 : 123만원 2,500원 (세전 기준입니다)

 

예금 상품의 이자 계산법은 굉장히 단순합니다. 위에 120만 원을 예로 가져다 쓰면  원금 120만 원에 금리 연 5%로 가정하고 1년 만기 후, 총 126만 원을 받게 됩니다.

 

반면 적금의 경우는 예금처럼 1년 치 이자를 모두 받는 것이 아닙니다. 매월 10만 원씩 1년 동안 넣는 연 5%짜리 적금일 때, 5% 이율은 1년 동안 계좌에 거치되어 있는 돈에만 적용이 됩니다. 

1회 차 납입금인 10만 원은 1년간 통장에 거치되기 때문에 12개월에 해당하는 이자를 받는 겁니다. 2회 차 때는 납입금 10만 원은 11개월 동안 통장에 거치되어 11개월에 해당하는 이자를 받는 방식이죠? 이해되시죠?

 

 

보통 같은 이율의 예금으로 받을 수 있는 이자의 절반 정도로 예상한다면 계산하기가 보다 쉬어 집니다.

쉽게 말해서 '예금은 뭉칫돈을 넣어둔다'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적금은 매달 조금씩 돈을 넣는다' 이렇게 정의하면 될 것 같네요.

추가적으로 대출받는 사람이 많을 때는 예금 이자가 높습니다. 대출 수요가 높아지면 자연스레 은행에서도 뭉칫돈이 필요해지니까요. 은행은 예금이 들어오면 그 돈으로 고객에게 대출을 해줄 수 있어서 예금 이자를 많이 줘서라도 뭉칫돈을 은행으로 끌어오는 거죠. 여러분 이것 하나만 명심하십시오. 은행은 절대 밑지는 장사 안 합니다.

 

이와 반대로 대출받는 사람이 적을 땐 적금 이자가 높습니다. 예금을 받아 뭉칫돈이 많아져서 쓸 곳이 마땅치 않을 때 은행 입장에서는 적금 이자를 높여서 새로운 고객을 만드는 것이 은행 본인들에게  더 낫다고 판단하는 거죠. 일단 은행에 적금을 만들며 거래를 시작한 고객은 급여통장이나 신용카드를 만드는 등 잠재적 고객 유치가 자신들에게 더 낫다고 판단하는 겁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들도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2024.09.14 - [절세 상식] - 나라가 포기하는 세금 총정리

 

나라가 포기하는 세금 총정리

이번에는 가 적용되는 " 나라가 포기하는 세금 총정리"라는 제목으로 법에 저촉되지 않고도 절세를 할수있는 방법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유용하게 써먹을수 있으니 참고해주

hysk1222.tistory.com

2024.09.16 - [주식 상식/미국 주식 상식] - 미국주식 차트 보는법 총정리

 

미국주식 차트 보는법 총정리

이번시간은 "미국주식 차트 보는법 총정리"이라는 제목으로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쉽고 자세히 설명했으니 미국주식차트 볼때 요긴하게 사용하세요     목차1.캔들차트2.기간설정3.이동평

hysk1222.tistory.com

2024.09.11 - [분류 전체보기] - 경제상식-자본주의는 살아남고 사회주의는 망한이유는?

 

경제상식-자본주의는 살아남고 사회주의는 망한이유는?

이번시간은 자본주의가 살아남고 사회주의가 여러 지역에서 망한 이유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그 이유는  복잡한 역사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들이 결합된 결과인데요 이에

hysk1222.tistory.com

 

반응형

'경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지표 총정리  (58) 2024.07.16
메타버스란 ?  (48) 2024.07.11
경제 상식 - 경제성장 무슨 말 일까?  (55) 2024.06.28
근린궁핍화 정책 총정리  (6) 2024.06.27
경제상식- 경제란 무엇인가?  (4) 2024.06.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