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상식9 경제적 불평등 지표 총정리 역사를 되돌아 봤을때 경제적 불평등은 항상 꼬리를 물고 따라 다닙니다. 역사에 한페이지는 경제적 불평등과 그로 인한 경제적 빈공, 전쟁,반목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겁니다. 이렇듯 경제적 불평등을 보다 간편하고 바로 육안으로 확인할수있는 지표가 있는데요 그 지표를 제목에서 말했듯이 '경제적 불평등 지표'라고 부릅니다 경제적 불평등 지표도 여러가지 인데요 그중 대표적인 몇가지만 알아보는 시간은 가지겠습니다 목차1.로렌츠 곡선2.팔마비율3.소득5분위 비율4.평균빈곤갭 1.로렌츠 곡선 소득 불평등 정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는 로렌츠 곡선(Lorenz Curve)입니다. 로렌츠 곡선이란 쉽게 설명하면 국민들의 소득 차이를 나타낸 소득분배 곡선을 말합니다. 로렌츠 곡선의 가로축은 소득액 기준.. 2024. 8. 5. 실물경제와 금융경제 총정리 경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실물경제와 금융경제인데요. 한번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잘 따라와 주세요 목차1.실물경제(현실경제)2.금융경제(화폐경제) 1.실물경제(현실경제) 우선 실물경제(현실경제)부터 알아보겠습니다. 편의상 실물경제로 부르겠습니다. 경제는 돈을 주체로 움직입니다. 돈 흐름을 기준으로 경제는 두 가지로 나뉩니다. 실물경제와 금융경제죠. 실물경제는 상품과 서비스를 거래할 때 실물(돈을 제외한 재화의 통칭을 말합니다)과 돈이 함께 움직입니다. 예를 들어서 영화를 예로 들면 돈 자체는 영화에 대한 욕구를 직접 채워주는 실체가 없습니다. 하지만 영화관에서 보는 영화나 OTT에서 보는 영화는 영화가 주는 욕구를 채워주죠. 또 다른 예를 들면 이사를 한다고.. 2024. 8. 1. 미시경제와 거시경제 총정리 흔히 뉴스기사나 경제 유뷰트같은 매체를 통해 들려오는 미시경제와 거시경제는 무슨 말일까요? 한번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1.미시경제2.거시경제3.경제기표 비유를 하자면 산에서는 시야를 넓게 잡아 숲을 주로 본다면 시야를 작게 잡아서 나무를 볼 수 있습니다. 시야를 넓게 보는 것을 거시(macroscopic)이라고 부르고 시야를 작게 보는것을 미시(microscopic)이라고 부릅니다. 여기다가 경제를 넓게 볼 것인가 즉 거시경제로 볼것인가 아니면 작게 다시 말해 미시경제로 경제를 볼 것이냐로 나눠지는 것이죠. 더 구체적으로 알아볼까요?1.미시경제 국민경제를 미시 관점에서 본다면 가계 ·기업 ·정부 등 3대 경제주체가 벌이는 활동 하나하나에 주목합니다. 재화와 서비스에 가격을 파악할 .. 2024. 7. 23.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