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 상식71 예금 이자가 적금이자보다 많은이유 총정리 그런 생각해보신 적 있으시나요? 왜 금리는 같은데 적금 이자보다 예금 이자가 많을까? 하고요. 이 가 친절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자는 돈을 은행에 맡긴 기간과 원금에 비례하여 계산합니다. 같은 금리인 상품이라도 예금인지 적금인지에 따라서 내 통장에 들어오는 이자가 다른데요 그 이유는 바로 돈을 넣어두는 기간 때문입니다. 120만 원을 금리 5%, 가입 기간 1년인 예금과 적금 상품에 가입했다고 가정하면 만기 후 이자를 포함하여 돌려받을수 있는 금액은 알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예금 : 126만원 (세전 기준입니다) - 적금 : 123만원 2,500원 (세전 기준입니다) 예금 상품의 이자 계산법은 굉장히 단순합니다. 위에 120만 원을 예로 가져다 쓰면 원금 120만 원에 금리 연 5%로 가.. 2024. 7. 4. 경제 상식 - 경제성장 무슨 말 일까? 경제성장은 무슨 뜻일까? 규모가 큰 나라 단위의 경제를국민경제라고 부릅니다. 국가경제 또는 나라경제 와 같은 말이죠.국민경제는 크게 세 부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뉴스에서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바로 가계·기업 ·정부 입니다. 이들을 국민경제 3대 주체라고 부릅니다. 이들은 땔레야 땔 수 없는 관계로 이어져 있습니다. 첫째. 가계는 기업에 노동력을 제공하고 임금 등 보수를 받아서 생계를 꾸려갑니다 둘째. 기업은 가계가 제공하는 용역 즉, 노동력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고 정부에 세금을 내는 대신에 가계와 정부에 재화를 팔아 돈을 법니다 셋째. 정부는 기업과 가계에 생활하기에 편리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신에 세금을 걷어 재정을 운영합니다. 국민경제 내부는 가계 ·기업 ·정부 사이에 재화의 생.. 2024. 6. 28. 근린궁핍화 정책 총정리 ≣ 목차1.근린궁핍화 정책2.플라자 합의 1.근린궁핍화 정책 수만은 경제학 이론이 있습니다. 그중에 오늘에 제목에 쓴 근린궁핍화 정책이라는 게 있습니다. 단어를 풀어헤쳐보면 말 그래도 '근린' 즉, 가까운 이웃을 '궁핍' 화 즉, 가난하게 만들다'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이 표현의 기원은 서양식 카드놀이중 하나인 트럼프에 '상대방 카드를 전부 빼앗아 온다'는 게임에서 출발했습니다. 이 게임의 방식은 단순합니다. 바로 상대방의 카드를 모조리 가져오면 끝이 나는 게임이죠. 이러한 게임 방식을 경제학에 접목하면 자국에 경제를 살리기 위해 다른 나라의 경제를 희생시키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요약하자면 근린궁핍화 정책은 자국에 이익만을 추구하여 나머지 교역국의 경제는 아랑곳 하지않고 오히려 손.. 2024. 6. 27. 이전 1 ··· 20 21 22 23 2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