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지표2 미시경제와 거시경제 총정리 흔히 뉴스기사나 경제 유뷰트같은 매체를 통해 들려오는 미시경제와 거시경제는 무슨 말일까요? 한번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1.미시경제2.거시경제3.경제기표 비유를 하자면 산에서는 시야를 넓게 잡아 숲을 주로 본다면 시야를 작게 잡아서 나무를 볼 수 있습니다. 시야를 넓게 보는 것을 거시(macroscopic)이라고 부르고 시야를 작게 보는것을 미시(microscopic)이라고 부릅니다. 여기다가 경제를 넓게 볼 것인가 즉 거시경제로 볼것인가 아니면 작게 다시 말해 미시경제로 경제를 볼 것이냐로 나눠지는 것이죠. 더 구체적으로 알아볼까요?1.미시경제 국민경제를 미시 관점에서 본다면 가계 ·기업 ·정부 등 3대 경제주체가 벌이는 활동 하나하나에 주목합니다. 재화와 서비스에 가격을 파악할 .. 2024. 7. 23. 경제지표 총정리 우리가 흔히 뉴스에서 보고 듣는 경제 상황이 좋다느니 나쁘다느니 하는 것들은 어떻게 판단하며 어떤 기준을 근거로 판단하는 걸까요? 바로 경제지표입니다. 쉽고 자세히 설명했으니 많이 이용해주세요. 경제지표 대게 보통 사람들은 경제상황을 자신의 살림살이나 주변 사정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식당을 하는 사람들은 손님이 뚝 끊켰다고 말하고 월세가 장난이 아니라느니 푸념을 늘어놓고 사랑하는 자녀들과 사랑인지 우정인지 헷갈리는 남편을 먹여 살리기 위해 장을 봐서 가족들끼리 오손도손 삼겹살 좀 구워 먹으며 이야기 꽃을 피우려고 가격을 확인하면 먹으면서 싸우게 생긴 가격 때문에 꼴나사운 모양새가 되기 십상이죠. (너무 극단적인가요? 참고로 제 이야기는 아닙니다)하지만 이런 방식은 정확한 경제를 진단하기에.. 2024. 7. 16. 이전 1 다음 반응형